□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전자제품의 커넥터형상, 전원공급 및 데이터전송을 USB-C 타입으로 통합·호환하여 산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가표준(KS) 제정 추진
ㅇ 이 표준안은 예고고시(‘22.8.10.~10.9.)에 이어, 지난 기술심의회(‘22.10.18.)를 통과하였고 표준회의(‘22.11월 초) 등의 절차를 거쳐 이르면 11월 중에 국가표준(KS)으로 제정 예정
□ 그동안 국내에서는 휴대전화, 태블릿 PC, 휴대용 스피커 등 소형 전자제품에서 전원공급과 데이터전송은 다양한 접속단자와 통신방식이 존재하여 환경 및 비용 문제와 소비자 사용 불편을 초래해왔음
ㅇ 한편 유럽에서는 EU집행위원회가 전자폐기물 감소, 국민편의 증진 등을 목적으로 USB-C 타입 충전기 표준화 법안*을 EU의회 및 이사회에 제출했고 최근 EU의회에서 가결되어 EU이사회의 승인 절차를 앞두고 있음
* EU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, 태블릿, 디지털카메라 등 총 12종 기기에 대하여 2024년 말까지 USB-C 충전단자가 탑재될 예정
□ 지난해 국표원은 업계*와의 정책간담회에서 USB-C 국가표준 제정 필요성과 표준 적용에 따른 산업계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중요함을 인식하여 USB-C 표준기술연구회를 구성
* (대기업) 삼성전자, LG전자, SK매직 (중견·중소) 솔루엠, ATEC, KCA, TG삼보 등 11개 기업 참여
ㅇ 산·학·연 전문가로 구성된 USB-C 표준기술연구회는 USB-C 관련 IEC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국가표준안을 개발하고, USB-C의 국내 적용 가이드라인* 발간을 추진하고 있음
* 제조기업, 유통업계 및 소비자가 제품 설계·적용·사용에 필요한 참고사항 제공
ㅇ 국표원은 USB-C 타입의 기술 특성*을 고려하여 국제표준 13종 중 3종을 2022년에 국가표준으로 제정할 예정이며, 나머지 10종도 이후 순차적으로 제정을 추진할 예정
□ 국표원에서는 국내 제조사, 수출기업, 수입자 및 소비자 대상으로 KS 국가표준 3종 소개, ‘USB-C 표준의 국내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(버전 1.0)’ 발간 및 홍보자료 소개를 위한 “전원 데이터․접속(USB-C) 표준 기업설명회*”를 11월 말에 개최할 계획
* 전원 데이터․접속(USB-C) 표준 기업설명회 주요내용
(해외동향) EU“USB-C”입법 추진 경과 및 타국 동향 소개(KTC) (국내현황) ➊ 한국산업표준 KS 3종 제정소개 및 향후 표준화 계획(국표원) ➋ 글로벌 접속호환 표준(USB-C) 국내 적용 가이드라인 발표(국표원) ➌ 국내 산업체의 제품 적용계획 및 기술지원(시험평가) 방안 등(삼성·LG) |
[ USB 접속 단자의 종류 ]
[ IEC 발간된 USB 표준 목록 ]
표준번호 | 표준명 |
IEC62680-1-1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1: Common components - USB Battery Charging Specification, Revision 1.2 |
IEC62680-1-2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2: Common components - USB Power Delivery specification |
IEC62680-1-3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3: Common components - USB Type-C® cable and connector specification |
IEC62680-1-4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4: Common components - USB Type-C™ Authentication Specification |
IEC62680-1-5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5: Common components - USB Audio 3.0 device class definition |
IEC62680-1-6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6: Common components - USB Audio 3.0 device class definition basic functions |
IEC62680-1-7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7: Common components - USB Audio 3.0 device class definition data formats |
IEC62680-1-8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1-8: Common components - USB Audio 3.0 device class definition terminal types |
IEC62680-2-1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2-1: Universal Serial Bus Specification, Revision 2.0 |
IEC62680-2-2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2-2: Micro-USB Cables and Connectors Specification, Revision 1.01 |
IEC62680-2-3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2-3: Universal Serial Bus Cables and Connectors Class Document, Revision 2.0 |
IEC62680-3-1 |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s for data and power - Part 3-1: Universal Serial Bus 3.1 Specification |
IEC63002 |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external power supplies used with computing and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|
USB-C 국가표준 제정(안) 설명자료
□ ‘USB-C‘ 국제표준 부합화 추진중인 국가표준 개발 목록(3종)
연번 | 표준번호 | 표준명 |
1 | KS C IEC 62680-1-2 |
데이터 및 전력용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— 제1-2부:공통 구성요소 - USB 전력 전송 규격 |
[개요] 전원공급 규격으로 최대 100W에서 USB 전력공급관리를 위한 필수 요소 및 USB 전력 전송 통신 스택의 구성별*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. * ➊장치 정책 관리자(USB 전력 전송 리소스 관리) ➋정책엔진(로컬 정책 구현) ➌프로토콜 계층(메시지 교환) ❹물리계층(비트의 송수신, 데이터 전송) |
||
2 | KS C IEC 62680-1-3 |
데이터 및 전력용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— 제1-3부: 공통 구성요소 — USB C형® 케이블 및 커넥터 규격 |
[개요] 케이블 및 커넥터 규격으로 USB 2.0, USB 3.2 그리고 USB4TM 버전의 USB-C 타입 리셉터클, 플러그 그리고 케이블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, 케이블 및 커넥터의 기계적 구조 및 기능과 USB4의 기능, 전력, 허브 연결, 장치 연결 등의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있다. |
||
3 | KS C IEC 63002 |
컴퓨팅 및 가전 제품 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외부 전력 공급의 상호 운용 규격 및 통신 방법 |
[개요] EPS의 상호운용 요구사항 및 통신 방법 규격으로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외부전력공급(EPS)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다. |